요즘 한국은 대학 입시 제도에 대한 논의가 뜨거운 것 같습니다. 특히 수능 문제 중에 킬러 문항이란 게 있다면서요? 제가 보니 금융 관련 내용도 있더군요. 저도 소시적에 공부를 좀 한 축에 들고 현재 직업도 금융 쪽이라 그 킬러 문항을 봤더니, 그동안 머리가 녹이 슬었겠죠? ㅎㅎㅎ 문제부터 뭔 말인지 이해가 안 됩니다. 아니 한국 고등학교 수준이 저렇게 높아졌어요? 당연히 아이들은 못 푸는 게 정상입니다. 그런데 이 킬러 문항을 가지고 장사를 하는 소위 일타 강사라는 사람들도 있다는군요. 우리 가족이 캐나다 이민을 결심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아이들 교육이었습니다. 월급쟁이 월급으로는 앞으로 두 아이의 사교육비+유학 비용을 감당할 엄두가 안 났고, 돈이 감당이 된다 하더라도 아이들이 청소년기를 입시 지옥 속에서 보내는 것이 싫었기 때문입니다. 아이들 교육에 관해서 캐나다 오면서 아내와 몇 가지 다짐을 했습니다. 우선 아이들 교육의 대원칙은, "캐나다의 시스템을 따른다" 는 것이었습니다. 교육 때문에 캐나다에 와서 한국식 교육을 고집하는 건 전혀 의미가 없기 때문이었죠. 이 대원칙에 입각해서: (1) 학교 공부 이외에 사교육은 없다. 단, 아이가 원할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: 큰 애가 11학년에서 수학을 어려워해서 학교 공부 외에 튜터링을 잠시 시킨 것 이외에는 일체의 사교육은 안 시켰습니다. 공부도 학교 숙제 이외에는 공부하라는 소리를 하지 않았죠. (2) 운동을 하나 시킨다. 단순한 취미를 넘어서 시합에 나갈 수 있는 수준까지 - 운동을 시키는 이유는, 체력 단련뿐 아니라 기술이 일정 수준에 이를 때까지 훈련하면서 포기하지 않고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, 경기 규칙과 판정에 순응하는 준법 정신, 상대를 존중하는 태도 등등을 길러주기 위함이었습니다. 아들은 테니스, 딸은 피겨 스케이팅을 꾸준히 했습니다. 둘 다 지역 대회에서 우승할 수 있는 수준까지 했죠. (3) 악기를 하나 시킨다. 이것도 경연에 나갈 수 있는 수준까지 - ...